영농정보

  • 영농정보
  • 장애및장해

장애및장해함께 걷고, 나누는 기업

게시물 검색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  

     

    ▒ 장애 및 장해 증상과 원인 ▒

     

     

     

     

     

            약해의 정의와 구분       

    해충 및 잡초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한 농약이 의외로 농작물의 조직파괴와 증산작용, 동화작용, 호흡작용 등의 생리작용을 방해하고 억제하며, 정상적인 생육을 저해하는 것을 약해( 藥害 :Phytotoxicity) 라고 정의한다.

    약해는 나타나는 정도에 따라서 급성약해와 만성약해로 구분하는데, 급성약해는 농약살포후 1 주일( 주로 3~4 일 ) 이내에 낙엽, 엽소, 반점, 시들음, 낙과, 발아 및 발근불량 등의 현상이 나타나고 육안으로 그 증상을 확인 할 수 있는 것이다. 만성약해는 눈에 띨 정도로 나타나지 않고 서서히 식물의 영양생장, 화아형, 과실의 발육등을 저해하여 생육억제, 수량감소, 품질저하를 가져오는 것으로 1 주일 이상 또는 수확후에 나타나는 등 그 증상이 장기간에 걸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처리한 농약이 토양에 잔류하여 대상 작물이 아닌 후작물이나 다른 작물에 피해를 주는 2 차약해도 있다.

    농약에 의한 약해가 항상 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며, 약해 발생이후 환경조건에 따라서 회복되는 일시적 약해도 있고, 약해증상은 동일하더라도 그후 생육상태가 좋아지거나 생각한 것보다 더욱 심한 피해를 받는 경우도 있다. 이와같이 약해의 증상과 피해량과의 관계는 단순하지 않고 피해 해석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질 소 질 소 약해증상 수 량
    잎 · 줄기 꽃 · 열매 뿌리
    질 소 3~5일 이내
    육안관찰 가능
    얼룩반점
    괴사반점 고사

    개화지연
    반점
    낙화낙과

    갈변발근저해 심한감소
    만 성 3~5일 이후
    이상증상 발현
    기형잎 위축

    비대지연
    착색불량
    기형과

    괴사부패
    기형뿌리
    경한감소

     

     

     

            약해의 증상        

    1. 잎과 줄기에 나타나는 증상

    발아장해 : 발아하지 않음, 발아지연, 발아후 고사, 눈의 신장 억제
    생육억제 : 왜화, 위축, 위조, 시듬, 고사
    잎의 변색

    • 탁수 및 수침현상 → 황화 (chlorosis) → 괴저, 괴사 (necrosis) → 엽소
    • 부분적 회갈색, 갈색화
    • 황화 : 담록, 황색, 농록색, 안토시안계 색소 출현 (purpling)
    • 반점, 고리모양, 원형 및 부정형 대형반점
    • 천공 및 낙엽

    잎의 외형변화 : 가는 잎, 뒤틀림, 축엽, 주름 등

     

    2. 꽃과 과실에 나타나는 증상

    기형화 , 암술 또는 수술의 변형
    결실 저해 : 불임, 기형과, 낙과
    과피 장해 : 동녹, 유침, 열과, 흑점
    착색 저해, 껍질 벗겨짐

     

    3. 뿌리 신장억제 및 이상 비대, 괴근의 비대억제

     

    4. 제초제로 인한 피해 증상

    글라신 : 가을처리시는 봄에 전엽 지연, 세엽, 축엽 증상, 봄처리시는 신초 및의 황화 및 고사
    파라코 : 살포입자가 바람에 날리면 작고 둥근 노란색 반점, 고농도로 묻으면 엽소 증상, 과실에 묻으면 표면에 적갈색 반점 증상.
    씨마네 : 최초 잎가 황화 후 점차 엽맥사이 황화, 심하면 갈변현상

     

     

            약해의 원인        

    1. 농약 자체의 이화학적 특성

    무기화합물(농약)이 유기화합물(농약)보다 쉽게 물에 녹아 작물체내 침투가 쉬워 약해발생 많다.

    • 무기농약이 물에 가용성이며 화합물의 분자가 작아서 식물체내 침투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농약의 분해 산물에 의해 약해
    유제의 유화성 불량, 수화제의 수화성 및 현수성 불량, 입제의 분말도

     

    2. 농작물 자체의 조건

    복숭아, 자두, 살구, 배 등은 석회보르도액과 같은 동제 나 황제에 약해받기 쉽다.

    • 보르도액의 유효성분인 염기성 황산동은 산성에 잘 녹기 때문에 매개가 낮은 작물인 복숭아, 자두등 의 잎에 는 살포가 불가능하다.

    사과의 욱 품종은 파프, 이피엔, 이프로, 디코폴에, 골덴데리셔스 품종은 사프롤, 아크리짓에, 스타킹 품종의 어 린과실은 디디브이피에 약해 받기 쉽다.
    신엽은 유기인계에 의해 받기 쉬운데 이는 농약에 대한 해독력이 없기 때문이다. 개화기 석회유황합제와 캡탄 등 은 화분발아 억제로 결실 저해, 낙과 및 기형과 형성 또한 낙화 1 개월 이내 농약 살포는 동녹발생이 나타나기 쉽다.
    오이, 감자, 포도등은 석회보르도액이나 옥시동수화제등의 유기동제에는 강하지만 석회유황합제에는 약해가 발생하기 쉽다.
    배추는 황제에는 약해가 없으나 동제에는 약해가 일어나기 쉽다.
    수확전 살포시 적색계 품종의 착색저하로 과실의 품질저하 가능성이 있다.

     

    3. 환경조건

    기온 : 일반적으로 고온에서는 작물의 농약흡수가 많아서 약해유발이 쉬움. 반대로 저온에서는 생육지연에 따른 저항성 감소와 회복 지연으로 약해문제가 발생한다.
    습도 : 약제 살포 전후로 비가 많이 와서 습도가 높으면 살포된 농약이 표면에 장시간 젖어 있어 식물체 내 침투 가 증가하므로 약해 위험이 많음. 또한, 다습한 조건에서 생육 하면 표피의 큐티클이 엷고 세포간극이 크며 기공수도 많아 농약의 조직내 침투가 용이하기 때문에 약해받기가 쉽다.
    일조 : 농약처리전 일조량이 부족하게 되면 조직이 연약하고 해독작용에 관여하는 탄수화물 함량부족으로 약해 유발 쉬움, 농약처리후 햇볕이 뜨거우면 광산화에 의한 엽록소 파괴가 일어나 황화증상이 일어난다.
    토양조건 : 토양의 흡착력이 작은 사토, 토심이 얕은 경우 및 토양 수분이 부족한 경우에 약해 발생이 쉽다.
    대체로 저온이며 발육이 왕성하지 않은 시기에는 약해를 입지 않으나 고온다습하여 발육이 왕성한시기에는 약 해를 입기 쉽다.
    혼용에 의한 약해

    • 불합리한 혼용시 주성분 가수분해, 금속염의 치환 및 유화성과 현수성 악화
    • 석회보르도액 등 알카리성 약제에 유기인계와 카바메이트계와 같이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농약을혼용시 가수 분해가 쉽게 일어나 약해 우려
    • 알카리성 농약과 마네브, 지네브, 치람 등 유기유황계 혼용시 유기유황계의 금속성분이 석회와치환되거나 분 해가 향상되고 용해도가 증가하여 약해유발
    • 유제와 수화제 혼용시 유제의 기름입자가 수화제의 증량제에 흡착되어 응집되어 약해 일어나기 쉬움
    • 가뭄이 연속되거나 기온이 높고 햇빛이 강할 때(유기인제 + 유기인계혼용시)
    • 가뭄이 연속되거나 기온이 높을 때 동제계통의 약제는 약해 발생 우려됨
    • 가뭄이 연속되거나 기온이 높은 때 다이센 + 유기인계 농약 혼용시

    근접살포에 의한 약해

    • 종 이상의 농약을 수일 간격으로 처리하는 것은 근접살포라고 하며, 농약상호간에 반응과작물의 생리현상 변 화로 약해 발생 하는 경우가 있음 (ex. 석회 보르도액과 카펜(도딘)의 경우)

    농약을 희석하는 물이 나빠서 주성분을 분해하여 일어나는 약해
    생육단계 및 영양상태에 따른 약해

    • 작물이 어릴 때나 생식 생장기에는 일반적으로 약해를 입을 가능성이 더 크므로 사용시 주의 해야함.
    • 개화기로부터 낙화 후 상당기간은 외부 환경조건에 매우 민감하므로 사과에 있어서 유기인계 밒말이나 방약은 꽃피기 전과 꽃이 진 20 일 이후에만 한다.
    • 유과기에는 나크제, 메프제, 디프제 등의 살포는 피한다.

     

    4. 약해 발생시 대책

    예방적 조치

    • 작물이 위조현상이 있거나 생육이 부진한 상태이면 약제사용을 삼간다.
    • 고온기에는 약제 살포하는 시간도 서늘한 아침이나 오후에 한다.
    • 단제로도 약해가 날 수 있는 약제와 혼합제의 사용도 주의한다.
    • 혼용사용시에는 3 가지 이상은 피하고 2 가지 정도만 혼용한다.
    • 근접살포, 중복살포 및 고농도 살포는 절대주의해야 한다.
    • 약제의 라벨을 한번 더 주의해서 읽어본다.

    약해응급조치

    • 신초, 잎, 과일에 경미한 이상증상을 나타낼 때는 고급아미노산제 (4 종복비 ) 등으로 회복시킨다.
    • 잎전체 또는 일부가지등 피해가 중 정도이면 물을 관수하거나 살수하여 농약의 잔류성분이 희석되도록 해야 한다.
    • 어느정도 피해가 회복될 시기가 되면 고급아미노산제 (4 종복비) 등을 저농도록 2~3 차례 살포하여 작물체를 강화시킨다.

     

     

     ☠      농약 섞어쓰기 주의사항        

    농약설명서 및 혼용가부표를 반드시 확인

    • 농약설명서의 " 주의사항 " 란은 반드시 확인하고 농약공업협회에서는 배부하는 통합혼용가부표를 반드시 확인 한다.

    농약은 2 종 섞어 쓰기를 하고 3 종이상 여러 약제의 섞어 쓰기는 가능하면 피하도록 한다. 여러약제를 섞으면 농약을 만들 때 첨가한 각종 보조제의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약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다.
    농약의 혼용 살포액을 만들 때는 동시에 2 가지 이상의 약제를 한꺼번에 섞지 말고 한 약제를 물에 완전 히 섞은 후 차례로 한 약제씩 추가하여 희석한다.
    제형이 다른 농약의 섞어 쓰기 순서

    • 수화제 또는 액상수화제와 유제의 섞어 쓰기
      : 유제의 희석액을 먼저 만든 후 수화제 또는 액상수화제를 넣어 살포액을 만든다.
    • 수화제 또는 액상수화제끼리 섞어 쓰기
      : 두약제를 함께 넣거나 희석하는 것은 좋지 않다. 1 개의 수화제 또는 액상수화제의 희석액을 만든 후 다른 수 화제 또는 액상수화제를 넣어 혼합 살포액을 만든다.
    • 전착제를 섞어 쓸 경우
      : 전착제 살포액을 먼저 만든 후 수화제 또는 액상수화제를 넣어 혼합 살포액을 만든다 전착제와 유제를 섞어 쓸 경우에는 순서에 관계없다.

    농약의 혼용살포액에 침전물이 생기면 사용지 말아야 한다.
    농약을 섞어 만든 살포액은 오래두지 말고 당일에 살포해야 한다.
    농약을 혼용할 때는 표준희석배수를 반드시 지켜야 하고 살포할 때는 표준량 이상으로 많은 양을 살포하지 않아 야 한다.
    섞어 쓰기가 가능한 약제라도 다시 한번 포장지를 읽고 반드시 적용대상 작물에만 사용해야 한다.
    혼용가부표에 없는 농약을 부득이 섞어 쓸 경우에는 전문기관이나 제조회사와 상담하거나 좁은 면적에 시험적으 로 살포해 약해가 발생하는지 유무를 확인한 후 살포해야 한다.

     

     

            약해의 정의와 구분        

    Q. 약을 살포하고 나서 약이 남게 되는 경우 친 곳에 또 한번 살포할 경우?

    • A. 약은 개발당시 기준량과 배량에 약해 시험을 하는데 배량에서도 약해가 없어야 농약품목으로 개발하여 보급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정상적인 희석배수로 제조하여 사용한 경우라면 약해의 우려가 없겠지만 실제로 농가에서는 기준량 보다 희석배수를 높여 사영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런 경우에는 주의를 해야한다.

    Q. 약이 마르기 전에 치는 것과 완전히 마른 다음에 살포하는 차이는?

    • A. 을 뿌리고 나서 약액이 작물체에서 완전히 마르지 않은 상태에서 다시 뿌리는 것과 약액이 완전히 마른 다 음에 뿌리는 것과의 차이점에 대하여는 약액이 마르지 않은 상태에서 다시 뿌리게 되면 약액이 흘러내려 버리 므로 작물에는 더 이상 농도가 높아지지 않겠지만 마른 다음에 뿌리게 되면 작물에 축적되는 농도가 높아지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약해의 우려도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농약의 종류별로는 살균제나 살충제 보다는 제초제나 생작조정제에서 농약의 농도에 더 민감하므로 사용시에 는 중복살포가 되지 않도록 주의를 해야한다.

     

    게시글 공유